최근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산시장과 실물경기의 변화가 우리 실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금리가 자산시장과 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금리의 영향으로 인한 자산시장 및 실물경기
금리와 실물경기의 관계
- 금리의 상승과 하락은 실물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금융산업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주체들의 비용이 금리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에 최근 같은 급격한 금리상승은 각주체들에게 큰 부담일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 금리가 낮아지면 이자비용감소로 인해 수익성이 증가하면서 투자가 늘어나고 새로운 성장기업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펜데믹상황에서 보여줬던 기술기업들의 주가상승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개인들 역시 저렴한 금융비용을 이용해 대출을 일으켜 다양한 자산에 투자를 하게 되면서 자산시장이 성장하게 됩니다.
- 반대로 고금리상황에서는 이자비용부담으로 인해 투자가 위축되면서 성장기업들에게는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고 주택이나 주식 등 자산시장에서도 고금리를 쫒는 자금이동으로 자산시장의 하락을 유도하게 됩니다.
- 금리는 또한 통화의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리가 높은 국가로의 자금이동으로 인해 환율의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수출과 수입에 영향을 주게 되며 자연스럽게 전체적인 경제상황과 연결되게 됩니다. 이처럼 금리와 실물경제는 단순한 관계가 아닌 복잡하고 다양한 연관성을 갖게 됩니다. 금리의 변화는 단순한 이자율의 증가가 아닌 소비자와 기업들의 행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며 경제 전반을 좌우하게 됩니다.
금리와 주가
-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보다는 현제의 금리상황이 촉발된 원인과 금리로 인한 경제변화가 주가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쉽게 금리상승 시 경제활황으로 인한 유동성증가로 금리가 상승한다면 주가에는 좋은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으며 유동성에 문제가 생겨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에는 주가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 일반적인 금리상승은 기업이나 가계에 금융비용지출을 늘리게 되면서 경제가 둔화되면서 주가는 하락을 하게 됩니다. 고금리상황에서는 투자보다는 이자소득을 위해 자금을 묶어두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주식시장에서 자금이 이동되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 금리와 주가를 볼 때 단순하게 보기보다는 금리와 함께 글로벌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그리고 세계적인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도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다양한 영역을 고려해야 하며 경제주체의 각 부분마다 금리로 인한 수익성에도 차이가 있어 산업별로 주가와 금리의 관계는 다르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금리와 채권
- 채권수익률과 금리상관관계를 보면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채권보유자는 채권가격하락으로 손실을 보게 되면 반대로 금리하락기에는 수익을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만기와 금리의 변동폭에 영향을 받게 되며 채권추자시 반드시 구조적인 이해 후 이 부분을 고려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채권투자를 리스크가 적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급격한 금리변동시기에는 수익률과 손실률이 커지면서 변동폭으로 인한 큰 리스크에 노출될 수도 있습니다.
- 채권투자는 금리의 추세를 어느 정도 예상하고 거시적인 경기의 흐름을 읽을 줄 안다면 장기적이고 안정적이 투자가 가능하겠지만 반대로 잘못 시장을 읽을 경우 생각보다 큰 손시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마치는 글
금리의 움직임에 의해 각 자산별로 움직임 다르고 물가와 실질금리에도 영향이 있기에 우리는 금리에 관심을 갖고 상황별로 투자대상을 선별할 수 있는 눈을 고를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테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금융위기의 정점 리먼브라더스 파산의 원인과 해결 (0) | 2023.04.06 |
---|---|
4차산업혁명과 세계경제의 변화 (0) | 2023.04.05 |
S&P 500 과 나스닥 지수관련 ETF상품들 (1) | 2023.03.21 |
주식관련 투자상품의 종류 (0) | 2023.03.17 |
부동산 경매투자의 장점과 단점 (0) | 2023.03.15 |
댓글